맨위로가기

1924년 전국체육대회 축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24년 전국체육대회 축구는 1924년 10월 30일부터 11월 2일까지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 소학부, 중학부, 청년부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심판 제도가 개선되어 학생이 아닌 심판이 선심을 맡았다. 청년부에서는 건강구락부, 중학부에서는 배재고등보통학교, 소학부에서는 광성보통학교가 우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국소년체육대회 12세이하부 축구단에 관한 - 1923년 전국체육대회 축구
    1923년 전국체육대회 축구는 부정 선수 논란과 결승전 소란으로 파행을 겪었으며, 소학부, 중학부, 청년부 경기가 배재고등보통학교와 휘문고등보통학교에서 열렸고, 결승전은 연기되어 광성보통학교, 배재고등보통학교, 조선불교청년회가 우승했다.
  • 1924년 축구에 관한 - 1924년 전조선축구대회 (평양기독교청년회)
    1924년 평양에서 평양기독교청년회 주최로 열린 전조선축구대회는 일제강점기 민족의 자긍심 고취와 단합을 도모하고, 다양한 연령대 팀들의 경쟁과 숭실대학 등의 우승, 그리고 민족 저항 정신의 상징으로서 한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초석을 다지는 데 기여한 중요한 대회이다.
  • 1924년 축구에 관한 - 1924년 전조선학생기독청년연합축구대회
    1924년 전조선학생기독청년연합축구대회는 경성운동장 등에서 중학부와 전문부로 나뉘어 개최된 학생 기독교 청년 연합 축구 대회로, 배재고등보통학교와 숭실대학이 각 부에서 우승했으며 일제강점기 민족의식 고취와 학생 스포츠 장려에 기여했다.
  • 전국체육대회 18세이하부 축구단에 관한 - 1923년 전국체육대회 축구
    1923년 전국체육대회 축구는 부정 선수 논란과 결승전 소란으로 파행을 겪었으며, 소학부, 중학부, 청년부 경기가 배재고등보통학교와 휘문고등보통학교에서 열렸고, 결승전은 연기되어 광성보통학교, 배재고등보통학교, 조선불교청년회가 우승했다.
  • 전국체육대회 18세이하부 축구단에 관한 - 1922년 전국체육대회 축구
    1922년 전국체육대회 축구는 2월과 11월에 제2회, 제3회 전조선축구대회를 포함하여 개최되었으며, 조선기독교청년회의 우승, 경기 규정 명문화, 청년부와 중학부로 나뉜 진행, 민족 단결과 독립 상징, 그리고 한국 축구 발전에의 영향 등이 특징이다.
1924년 전국체육대회 축구
대회 정보
연도1924년
종류하계
종목축구
영어 종목Football
픽토그램Football pictogram.svg
개최국일제강점기 조선
개최 도시경성
개최 기간1924년 10월 30일~11월 2일
경기장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
선수단5
참가 선수286
남자 선수286
종목 수3
남자 종목3
일반부
일반부 종목 수1
일반부 남자 종목1
18세 이하부
18세 이하부 종목 수1
18세 이하부 남자 종목1
12세 이하부
12세 이하부 종목 수1
12세 이하부 남자 종목1
이전/다음 대회
이전 대회1923
다음 대회1925

2. 대회 진행

제5회 전조선축구대회는 1924년 10월 30일부터 11월 2일까지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3] 이전 대회까지는 인력이 부족하여 선심을 학생들에게 맡겼으나, 이 대회부터는 심판이 선심을 맡아 진행하도록 개선되었다. 또한, 우승 선수단 맞히기 투표 행사도 진행되었는데, 1등 1명에게는 10원, 2등 5명에게는 5원씩, 3등 3명에게는 동아일보 3개월 무료 구독권이 상품으로 주어졌다.[3]

소학부 종목에는 광성보통학교, 수송보통학교, 영흥공립보통학교, 재동공립보통학교, 평양숭덕 등 5개 선수단이 참가했다. 중학부 종목에는 경신학교, 고창고등보통학교, 광성고등보통학교, 배재고등보통학교, 배재학당, 보성고등보통학교, 영생고등보통학교, 오산고등보통학교, 중앙고등보통학교, 평양고등보통학교, 협성실업, 휘문고등보통학교 등 12개 선수단이 출전했다. 청년부 종목에는 건강구락부, 보성전문, 불교청년회, 수양구락부, 전평양 등 5개 선수단이 참가했다.[3]

3. 경기장

경기장도시비고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경성남자 전부문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경성남자 청년부 결승


4. 참가 선수단

남자건강운동부경성19222김종만, 박규선, 박치양, 서병수, 손희운, 신봉균, 유재춘, 이경구, 최계남, 최대순, 한기호보성전문학교경성19241곽장범, 남용희, 신용희, 윤득호, 우복수, 이세옥, 이장훈, 이한우, 장응진, 최소암, 한완주수양구락부경성19223김덕규, 김상국, 박수복, 박태식, 송영기, 윤태현, 이연흥, 이용학, 최건모, 한기창, 효승준전평양평양19241강봉삼, 김원겸, 김원복, 김재신, 유정봉, 유해필, 이학영, 장병찬, 장세훈, 정원숙, 정원순조선불교청년회경성19214김영희, 김원태, 김윤기, 김윤옥, 김제정, 김충배, 마춘식, 손희염, 송덕기, 이동근, 황점용중학부
남자경신학교경성19213권태호, 김남규, 김성우, 김종순, 백근원, 서진관, 오봉수, 원정호, 이영선, 이춘호, 정인승고창고등보통학교고창19241광성고등보통학교평양19223배재고등보통학교경성19214김락구, 백기주, 유영목, 윤병환, 이영민, 이인수, 장병선, 장영생, 조수증, 최창문, 함용화배재학당경성19241김달연, 박봉조, 박용운, 벡남주, 송인열, 신현식, 이관용, 이응환, 이종규, 장치모, 홍성묵보성고등보통학교경성19213김병량, 김진석, 김창훈, 이윤석, 이창용, 이효선, 장홍식, 조희석, 지동순, 허양헌, 홍성척영생학교함흥19232김남극, 김동제, 김신규, 도상덕, 박인봉, 박장용, 양병제, 유순형, 이영직, 이재학, 이정환오산학교정주19213구상식, 김석진, 김종만, 어강주, 원돈량, 이병인, 이창승, 정태호, 조만연, 표영선, 홍재석중앙고등보통학교경성19214김문량, 김상은, 김영길, 김태호, 김홍배, 도상린, 문갑돌, 박태삼, 이갑득, 정완기, 정천종평양관립고등보통학교평양19241고용성, 김국신, 김병국, 김상린, 박용수, 신효선, 이석제, 이원식, 전원호, 채연보, 최흥준협성학교경성19241강근두, 거봉선, 김도윤, 김석문, 서성근, 이의상, 이춘호, 임완생, 전성근, 정유철, 최동암휘문고등보통학교경성19214강희문, 김말봉, 김정식, 민용규, 오봉은, 이진묵, 이진영, 이판갑, 정세영, 조을범, 최상복소학부
남자광성보통학교평양19232수송공립보통학교경성19232고학기, 김관호, 김동만, 왕학돌, 유영진, 이삼남, 이성찬, 이혜봉, 정규성, 조석봉, 최돈상숭덕보통학교평양19241김기활, 김동혁, 김명산, 김상업, 김수국, 김승훈, 박태보, 송혜덕, 이영순, 전병엽, 주진선영흥공립보통학교영흥19241강순길, 김종규, 박대순, 박영준, 이명순, 이배진, 장용길, 조봉학, 주인택, 최재흥, 함창후재동공립보통학교경성19241김귀영, 김상만, 모경술, 안태경, 오광은, 유세준, 이용이, 이종구, 장진중, 주점동, 황일영


5. 경기 일정

1924년10월11월
30일31일1일2일
청년부남자
중학부남자
소학부남자
일일 합계0021
누적 합계0023


6. 경기 결과

제5회 전조선축구대회는 소학부, 중학부, 청년부 종목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3] 각 부문별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6. 1. 청년부

청년부 남자 종목에는 건강운동부 축구단, 보성전문학교 축구단, 수양구락부 축구단, 전평양 축구단,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 등 5개 축구단이 참가했다.[1][5][6]

전평양 축구단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의 1라운드 경기는 1924년 10월 30일 15시 30분에 시작되었다.[1][7][8][9] 당시 대회 규정은 무승부 시 코너킥과 프리킥을 각각 1점, 득점에 실패한 페널티킥을 2점으로 기록하여 경기 기록 점수로 승패를 결정했다. 양 팀은 1:1로 비겼고, 경기 기록 점수 7:6으로 전평양 축구단의 승리가 선언되었다.[7][8][10][9] 그러나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 측에서 자신들의 경기 기록 점수가 1점 차로 앞섰다고 항의하여, 승패는 확정되지 않고 경기 기록 재검토가 진행되었다.[7][8][9] 이후 일부 경기 기록 점수 누락이 확인되어 양 팀 합의 하에 재경기가 결정되었다.[7][10][9] 1924년 11월 1일 9시 44분에 진행된 재경기에서는 1:1 무승부, 경기 기록 점수에 따라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이 4강에 진출했다.[11][12]

1924년 11월 1일 11시 4분에 진행된 수양구락부 축구단과 보성전문학교 축구단의 4강 경기는 수양구락부 축구단이 2:0으로 승리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이어서 12시 41분에 진행된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건강운동부 축구단의 경기는 건강운동부 축구단이 2:0으로 이기며 결승에 진출했다.[11][12]

1924년 11월 2일 14시 45분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진행된 건강운동부 축구단수양구락부 축구단의 결승전은 건강운동부 축구단이 6:3으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13][14]

6. 2. 중학부

중학부 남자 종목에는 경신학교 축구단, 고창고등보통학교 축구단, 광성고등보통학교 축구단, 배재고등보통학교 축구단, 배재학당 축구단, 보성고등보통학교 축구단, 영생학교 축구단, 오산학교 축구단, 중앙고등보통학교 축구단, 평양관립고등보통학교 축구단, 협성학교 축구단, 휘문고등보통학교 축구단 등 12개 축구단이 참가했다.[1][5][6]

1라운드 경기는 1924년 10월 30일에 진행되었다.

8강 경기는 1924년 10월 31일에 진행되었다.

4강 경기는 1924년 11월 1일에 진행되었다.

결승 경기는 1924년 11월 1일 16시 50분에 진행되었다. 배재고등보통학교 축구단이 평양관립고등보통학교 축구단을 3:0으로 이기며 우승을 차지했다.[13][14]

경기날짜시간팀 1결과팀 2비고
1라운드 1경기1924년 10월 30일11:14평양관립고등보통학교 축구단2 : 0휘문고등보통학교 축구단
1라운드 2경기1924년 10월 30일12:10배재학당 축구단1 : 4배재고등보통학교 축구단
1라운드 3경기1924년 10월 30일경신학교 축구단0 : 4광성고등보통학교 축구단
1라운드 4경기1924년 10월 30일14:26중앙고등보통학교 축구단4 : 1오산학교 축구단
8강 1경기1924년 10월 31일12:10중앙고등보통학교 축구단0 : 6배재고등보통학교 축구단
8강 2경기1924년 10월 31일14:13평양관립고등보통학교 축구단1 : 0고창고등보통학교 축구단
8강 3경기1924년 10월 31일15:25보성고등보통학교 축구단1 : 0협성학교 축구단
8강 4경기1924년 10월 31일16:29영생학교 축구단0 : 1광성고등보통학교 축구단
4강 1경기1924년 11월 1일13:43보성고등보통학교 축구단0 : 3평양관립고등보통학교 축구단
4강 2경기1924년 11월 1일14:37배재고등보통학교 축구단1 : 0광성고등보통학교 축구단
결승1924년 11월 1일16:50배재고등보통학교 축구단3 : 0평양관립고등보통학교 축구단


6. 3. 소학부

소학부 남자 종목에는 광성보통학교 축구단, 수송공립보통학교 축구단, 숭덕보통학교 축구단, 영흥공립보통학교 축구단, 재동공립보통학교 축구단 등 5개 축구단이 참가했다.[1][5][6]

1924년 10월 30일에 진행된 숭덕보통학교 축구단수송공립보통학교 축구단 간의 1라운드 경기는 수송공립보통학교 축구단이 1:0으로 이기며 4강에 진출했다.[2][15]

1924년 10월 31일 10시 40분에 진행된 영흥공립보통학교 축구단재동공립보통학교 축구단 간의 4강 첫 번째 경기는 영흥공립보통학교 축구단이 4:0으로 이기며 결승에 진출했다.[8][10] 같은 날 13시 15분에 시작된 광성보통학교 축구단수송공립보통학교 축구단 간의 4강 두 번째 경기는 광성보통학교 축구단이 2:0으로 이기며 결승에 진출했다.[12]

1924년 11월 1일 15시 43분에 진행된 영흥공립보통학교 축구단광성보통학교 축구단 간의 결승 경기는 광성보통학교 축구단이 4:0으로 이기며 우승을 차지했다.[13][14]

경기일경기 시간팀 1결과팀 2비고
1924년 10월 30일숭덕보통학교 축구단0 : 1수송공립보통학교 축구단1라운드
1924년 10월 31일10:40영흥공립보통학교 축구단4 : 0재동공립보통학교 축구단4강
1924년 10월 31일13:15광성보통학교 축구단2 : 0수송공립보통학교 축구단4강
1924년 11월 1일15:43영흥공립보통학교 축구단0 : 4광성보통학교 축구단결승


7. 메달 집계

1924년 전국체육대회 축구 종목의 메달 집계는 다음과 같다.

순위지역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경기2136
2평남1102
3함남0101
4전북0000
평북0000
합계3339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순으로 순위가 결정된다.

7. 1. 청년부 메달 집계

순위지역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경기1124
2평남0000
합계1124


7. 2. 중학부 메달 집계

순위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경기도1012
2평안남도0112
3전라북도0000
평안북도0000
함경남도0000
합계1124


7. 3. 소학부 메달 집계

순위지역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평안남도1001
2함경남도0101
3경기도0022
합계1124


8. 메달 수상자

(경기)수양구락부
(경기)보성전문학교 (경기) 곽장범, 남용희, 신용희, 윤득호, 우복수, 이세옥, 이장훈, 이한우, 장응진, 최소암, 한완주
조선불교청년회 (경기) 김영희, 김원태, 김윤기, 김윤옥, 김제정, 김충배, 마춘식, 손희염, 송덕기, 이동근, 황점용중학부 남자배재고등보통학교
(경기)평양관립고등보통학교
(평남)광성고등보통학교 (평남) 김기수, 김성환, 거제철, 남기하, 박기윤, 박유돈, 박유초, 방창수, 윤덕일, 임용업, 한정호
보성고등보통학교 (경기) 김병량, 김진석, 김창훈, 이윤석, 이창용, 이효선, 장홍식, 조희석, 지동순, 허양헌, 홍성척소학부 남자광성보통학교
(평남)영흥공립보통학교
(함남)수송공립보통학교 (경기) 고학기, 김관호, 김동만, 왕학돌, 유영진, 이삼남, 이성찬, 이혜봉, 정규성, 조석봉, 최돈상
재동공립보통학교 (경기) 김귀영, 김상만, 모경술, 안태경, 오광은, 유세준, 이용이, 이종구, 장진중, 주점동, 황일영


참조

[1] 서적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Ⅱ 민족의 구심체, 조선체육회(1920~1945) https://portal.sport[...] 대한체육회
[2] 뉴스 五回全朝鮮(오회전조선) 蹴球大會(축구대회) 天馬騰空(천마등공)의氣勢(기세)로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24-10-31
[3] 서적 대한체육회 90년사 I http://photo3.sports[...]
[4] 서적 대한체육회 90년사 I http://photo3.sports[...]
[5] 뉴스 蹴球大會今日(축구대회금일) 參加團體二十二(참가단체이십이)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24-10-30
[6] 뉴스 今日開幕(금일개막)의 蹴球大會(축구대회)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24-10-30
[7] 서적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Ⅱ 민족의 구심체, 조선체육회(1920~1945) https://portal.sport[...] 대한체육회
[8] 뉴스 五回全朝鮮(오회전조선) 蹴球大會(축구대회)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24-11-01
[9] 뉴스 審判問題(심판문제)로騷動(소동)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24-11-01
[10] 뉴스 全朝鮮蹴球(전조선축구)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24-11-01
[11] 뉴스 五回全朝鮮(오회전조선) 蹴球大會(축구대회)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24-11-02
[12] 뉴스 全朝鮮蹴球(전조선축구)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24-11-02
[13] 뉴스 五回全朝鮮(오회전조선) 蹴球大會(축구대회)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24-11-03
[14] 뉴스 全朝鮮蹴球决勝戰績(전조선축구결승전적) 佛敎軍(불교군)의惜敗(석패)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24-11-03
[15] 뉴스 第五囘蹴球(제오회축구)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24-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